
NestJS_REST_API_Service 우리는 Single-responsibility principle에 따라 코드를 작성할 예정이다. Single-responsibility principle란? 하나의 module, class 혹은 fuction이 하나의 기능은 꼭 책임져야한다는 뜻이다. 1. Service 생성 nest g s 2. service에서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entity 폴더를 만들어 movie.entity.ts 파일을 생성하여 데이터의 모델을 지정해준다. export class Movie { id: number; title:string; year:number; genres: string[]; }3. movie.service.ts 작성 import { Injectable, ..

NestJS REST API 이번 블로그 부터는 NestJS를 사용하여 영화 관련 API를 만들어보겠습니다. 오늘은 그 시작의 첫번째, Controller입니다. 1. controller 생성 nest cli를 사용하여, controller를 생성해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 nest cli가 지원하는 명령어가 있으며, nest generate controller 의 약자로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해주고, nest g co '컨트롤러명' 을 적어줍니다. 놀라운 것은!!! movie 이름을 가진 폴더안에 컨트롤러가 자동 생성되고 동시에 module에 import가 자동으로 되었다!!! Amazing!!!!!!!! import { Modu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Movies..

NestJS란? 효율적이고 확장 가능한 Node.js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위한 프레임 워크. 즉, Node.js 위에서 움직이는 프레임워크 다른 node.js프레임워크에 없는 것을 가지고 있다. node.js에서는 url, controller, templete, middle ware 등을 어느 위치에 두든 상관 없이 돌아가게 할 수 있으나, Nest.js에서는 구조와 규칙이 정해져 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과 함수형 프로그래밍, 심지어는 함수 반응형 프로그래밍의 요소도 일부분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NestJS 공식 홈페이지 : https://docs.nestjs.com/ [Documentation | NestJS - A progressive Node.js framework N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