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아이피 주소를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기 전에! DHCP에 대해 먼저 알고가자~!! DHCP(Dynamin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네트워크를 기기에 연결하려면 본래는 직접 아이피 주소를 다른 기기와 중복되지 않게 직접 지정해야한다. 하지만, DHCP가 이 역할을 자동으로 설정해줌으로써 우리는 보다 편리해지고 이로부터 자유로워졌다. 먼저, DHCP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것들이 있어야하며, DHCP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자! 1. DHCP Server 2. DHCP client 3. 기기 식별자(Mac address or physical address) DHCP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과정 1. DHCP client -> DHCP server 아이피 주소..

public IP Address로 접속을 해봤자 어떤 기계로 접속을 해야할지 알수 없다. 외부에서 접속이 들어왔을 때 어떤 기계를 서버로 연결해줄 것인지 공유기가 교환을 해주어야한다. 이를 위해서 port forwarding이라는 기술을 사용해야한다. 먼저 port에 대해 알아보자. Port 하나의 컴퓨터에는 여러 서버가 존재할 수 있다. 그 서버를 어떻게 식별할까? 이때 필요한 것이 포트 번호이다. 0 ~ 65535의 포트 번호가 있으며, 0 | 22-SSH | 80-http | 1023 | 65535 22번 : SSH 80번 : HTTP(하이퍼_텍스트_트렌스퍼_ 프로토콜, 웹페이지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통신규약) 웹은 http라는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있는 통신시스템이다. 80번은 웹이 쓰도록 정해져..

[용어정의] 공유기 : 라우터(인터넷이 동작하는 핵심중의 핵심) IP: 인터넷 위의 컴퓨터가 서로 통신하기 위해 필요 IPv4 : 인터넷 통신 규칙에서 사용하는 주소(IP주소) - 0.0.0.0 ~ 255.255.255.255(42억개로 사설 IP 로 사용하기로 함) IPv6 : IP주소의 갯수가 동이나서 이후 새로 생겨난 규칙 공유기를 통해 IPv4의 하나의 IP주소를 여러대의 컴퓨터가 나누어 쓸 수 있음. 이를 위해 아래의 개념들을 알아야 함. Network Address Translation Public(공인 IP) VS Private IP Address(사설 IP) Port forwardinig Dynamic(고정 IP) VS Static IP address(유동 IP) Dynamic DNS 공유..